상생의 터전!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 8일 나주에서 기공식 |
---|
자료출처 : 건설교통부 등 록 일 : 2007-11-08 |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 건설사업 기공식이 11월 8일(목) 오후 3시 전남 나주 혁신도시 부지에서 제주, 경북, 경남 혁신도시에 이어 4번째로 개최되었다.
“상생의 터전” 이라는 슬로건으로 개최된 오늘 기공식에는 노무현 대통령과 이용섭 건교부장관, 이민원 균형위원장, 박광태 광주시장, 박준영 전남지사 등 정부관계자, 최인기, 강기정, 김동철, 이낙연, 한병도, 주승용, 서갑원, 신중식 의원 등 국회의원, 그리고 이원걸 한국전력사장 등 17개 이전공공기관 임직원과 지역주민 등 1,500여명이 참석하였다. 오늘 기공식은 2005년 11월 혁신도시 입지선정, 2006년 개발구상 수립에 이어 2007년 3월 지구지정, 2007년 10월까지 개발 및 실시계획 수립의 절차를 거쳐 첫 삽을 뜨게 된 것이다. 오늘 행사는 전국 혁신도시 중 유일하게 2개 지자체에서 협력하여 추진되는 점을 강조하여 광주와 전남지역의 상생발전을 염원하는 상징화 교환식 및 상생 혁신도시 퍼포먼스와 광주시장·전남지사의 환영인사, 대통령 축사, 기념발파 등을 갖고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의 착공을 대내외에 선언했다.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는 나주시 금천면, 산포면 일원에 7,264천㎡ 규모로 한국전력 등 17개 이전공공기관과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 종사자 등 5만명을 수용하는 상생의 도시로 건설된다. “빛과 물이 하나되는 상생의 생명도시”를 개발컨셉으로 하는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는 523천㎡ 규모의(전체 혁신도시 면적의 약 7% 규모) 중앙호수공원이 조성되어 이전기관 직원과 인근 지역 주민 등이 쾌적하게 문화·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광주·전남 혁신도시는 첨단 IT산업과 교통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미래형 첨단도시로 건설할 계획이다. 교통정보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순환버스 운행 시스템 등을 도입하여 도시전체가 신속한 교통관련 서비스를 제공받는 첨단 교통시스템을 구축하고, U-City로 계획하여 주민들이 행정, 환경, 방재·치안, 시설관리 등 각종 서비스와 생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시 및 건축물 설계시 가족친화적 무장애(Barrier Free) 설계개념과 범죄예방기법(CPTED)을 도입하여 노약자, 장애인 등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안전성·접근성·자율방범체계·가족돌봄기능 등도 반영한 쾌적하고 편리한 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2012년 공공기관 이전이 완료되고, 관련기업·연구기관 유치가 이루어지면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는 에너지·농생명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호남지방의 새로운 성장동력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한국전력·한전KDN 등 에너지 기능군과 광주의 광(光)산업을 연계하고, 농촌공사·농촌경제연구원 등 농생명 기능군과 전남의 농업을 연계시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계획이다. 또한,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는 건설과정에서도 지역 건설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성공사가 완료되는 2012년까지 공동사업시행자인 토지공사, 광주도시공사, 전남개발공사는 공사비 1조 1,800억원을 투입하며, 특히 이번에 착공하는 1공구(141억원)는 전남 소재 (주)해송종합개발·대도개발이 지분율 30%로 다른 3개 건설업체와 공동으로 참여하였으며, 나머지 공구도 지역업체 참여가 예상된다. 또한, 정부에서 지원예정인 도로·상하수도 등 기반시설공사와 민간이 투자하는 아파트·상가 건축 등을 감안하면 파급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무현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광주·전남 공동 혁신도시는 2개의 지자체가 힘을 모아 추진하는 모범사례인 만큼 혁신도시 중에서 지역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가장 클 것임을 지적하며 균형발전 정책은 국민의 삶의 질 개선과 경쟁력을 갖춘 선진 국가 반열에 오르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는 과제임을 강조하였다. 정부는 현재 실시계획이 승인된 후 협의보상이 진행중인 대구, 울산 등 나머지 혁신도시도 공사착수 여건이 충족되면 순차적으로 착공할 계획이다. * 혁신도시 기공식 및 각종 행사관련 사진, 영상자료 등은 건설교통부(www.moct.go.kr)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http://innocity.moct.go.kr/) 홈페이지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