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 건축허가, 전년 대비 1.8% 증가
자료출처 : 국토해양부    등 록 일 : 2013-02-03
- 오피스텔 허가(50.7%) 착공(44.8%), 준공(14.8%) 모두 증가

- 아파트(8.7%), 연립(43.7%) 등 주거용 건축물 허가면적 4.2% 증가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2012년 건축허가와 관련, 면적은 ‘11년보다 1.8% 증가한 143,671천㎡, 동수는 2.2% 감소한 231,952동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참고1,2]

《 연도별 건축허가 현황 》
(단위 : 동, 1,000㎡)
구 분2009년2010년2011년2012년
전 국동수200,444220,041237,139231,952
연면적98,567119,301141,197143,671
수도권동수62,52568,55270,60770,361
연면적46,76655,37057,69462,918
지 방동수137,919151,489166,532161,591
연면적51,80163,93183,50380,753

(단위 : 1,000㎡)


착공 면적은 0.6% 감소한 102,398천㎡, 동수는 4.4% 감소한 191,664동이며,

준공 면적은 7.0% 증가한 111,931천㎡, 동수는 2.1% 증가한 190,383동으로 파악되었다.



◈ 건축허가 통계 : 건설투자 선행지표(건축부문)로서 건설동향, 주택수급동향 등의 진단 및 건축자재 수급ㆍ생산 예측을 위한 기초 통계

◈ 건축물 착공 통계 : 건설경기 동행지표로서 공사가 실제로 착수된 면적을 집계한 수치

◈ 건축물 준공 통계 : 건축공사가 완료되어 입주가 가능한 건축물의 면적을 집계한 수치


다만, ‘12년도 4/4분기만을 살펴보면 전년 동기 대비 허가, 착공, 준공 면적 및 동수가 모두 감소하였다.


구분면적증감동수증감
11분기12년11년12년
허가40,107,201.138,758,480.2감 3.4%62,27154,885감 11.9%
착공30,863,739.724,644,126.4감 20.2%51,64644,250감 14.3%
준공33,304,573.631,644,360.1감 5.0%59,68552,702감 11.7%


‘11년 대비 ’12년의 건축물 용도별 증감 현황을 살펴보면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건축허가 면적이 4.2% 증가한 59,527천㎡로 전체 허가면적의 41.4%를 차지하였으며, 수도권과 지방이 각각 5.0%, 3.6% 증가하였다.

- 상업용은 전년 대비 큰 변동이 없었으며, 공업용과 교육·사회용은 각각 9.6%, 3.9% 감소하였다.[참고3,4]

《 용도별 건축허가 현황 》
(단위 : 동, 1,000㎡)
구분합계주거용상업용공업용교육·사회용기타
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
'11년전국237,139141,197102,99557,13962,31431,68522,81117,58611,58911,14337,43023,643
수도권70,60757,69429,82523,72922,60414,6966,9985,3133,7714,8187,4099,138
지방166,53283,50373,17033,41039,71016,99015,81312,2737,8186,32530,02114,506
'12년전국231,952143,671104,28459,52762,40131,68221,40815,90510,80010,71333,05925,845
수도권70,36162,91830,64724,91521,82015,6286,6105,5413,8064,8037,47812,032
지방161,59180,75373,63734,61240,58116,05414,79810,3646,9945,91025,58113,813


착공 면적은 주거용이 1.5% 증가한 39,112천㎡로 전체 물량의 38.2%를 차지하였고,

- 상업용, 공업용은 각각 1.1%, 13.3% 감소한 반면, 교육·사회용은 1.6% 증가하였다.

《 용도별 건축물 착공 현황 》
(단위 : 동, 1,000㎡)
구분합계주거용상업용공업용교육·사회용기타
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
'11년전국200,465103,02591,83838,53344,85023,65021,96916,7907,2887,69334,52016,359
수도권56,19337,15225,72112,79815,29611,2896,7304,9871,9853,4046,4614,675
지방144,27265,87366,11725,73529,55412,36115,23911,8035,3034,28928,05911,685
'12년전국191,664102,39891,45439,11243,44423,39419,74814,5647,5647,81429,45417,514
수도권53,19437,06925,76813,04213,75410,9325,8064,9042,0013,1185,8655,074
지방138,47065,32865,68626,07029,69012,46213,9429,6605,5634,69623,58912,440


준공 면적은 주거용이 0.5% 증가한 36,246천㎡로, 전체 물량의 32.3%를 차지하였고,

- 상업용, 공업용, 교육·사회용이 각각 4.3%, 26.2%, 20.9% 증가하였다.

《 용도별 건축물 준공 현황 》
(단위 : 동, 1,000㎡)
구분합계주거용상업용공업용교육·사회용기타
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
'11년전국186,391104,56075,62136,07046,86524,52421,54817,1709,6959,42632,66217,370
수도권53,74443,53321,52515,63016,69212,4076,6565,1103,2114,2985,6606,089
지방132,64761,02754,09620,44030,17312,11814,89212,0606,4845,12727,00211,281
'12년전국190,383111,93182,53036,24648,49725,57820,93121,6689,57111,39628,85417,043
수도권55,12749,95923,13315,83216,45112,4566,45810,1093,2105,0365,8756,525
지방135,25661,97259,39720,41432,04613,12214,47311,5596,3616,35922,97910,518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주거용 : 단독주택(단독, 다가구, 다중주택), 공동주택(연립, 다세대, 아파트)
· 상업용 : 상가, 오피스텔, 호텔 등 · 공업용 : 공장
· 교육·사회용 : 의료시설, 문화시설(극장 등)
·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 '12년 용도별 건축허가, 착공, 준공 세부현황은 붙임참조



2012년 건축허가, 착공 및 준공의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오피스텔은 허가, 착공, 준공 실적이 모두 증가하였다. 이는 주거용 오피스텔의 공급 활성화를 위한 세제 혜택 및 건설 기준의 완화(‘11년 8.18 전월세 대책)와 1~2인 가구 증가에 따른 소형 주택 수요 증가 등에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 오피스텔 건축허가 면적은 '11년 2,875천㎡에서 '12년 4,332천㎡로 50.7%, 착공 면적은 '11년 2,304천㎡에서 '12년 3,336천㎡로 44.8%, 준공 면적은 '11년 1,082천㎡에서 '12년 1,234천㎡로 14.8% 증가 하였다.

둘째, 전년대비 건축허가 면적(1.8% 증가) 및 착공 면적(0.6% 감소) 변동 폭과 비교하여 준공 면적(7% 증가)은 상대적으로 큰 폭의 변동을 보였는데, 이는 ’09년부터 꾸준히 증가한 허가물량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연도별 건축 준공 현황 》
(단위 : 동, 1,000㎡)
구분2009년2010년2011년2012년
전국동수170,428181,705186,391190,383
연면적113,122119,127104,560111,931
수도권동수54,24255,85953,74455,127
연면적54,63358,79843,53349,959
지방동수116,186125,846132,647135,256
연면적58,48960,32961,02761,972


《 연도별 건축 준공 증감추이(분기별) 》
(단위 : 1,000㎡)


셋째, 지방의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면적 증가가 계속 되었는데, 2011년 지방의 건축허가 면적이 수도권을 추월한 이후 2012년에도 동일한 현상을 보였다.

- 특히, 다가구주택은 줄어든 반면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의 허가 면적은 전년대비 각각 10.5%, 43.4%, 20.2% 증가하였다.

《 주거용 건축물 건축허가 증감 현황(‘11년 대비 ’12년) 》
구분합계단독주택다가구주택아파트연립주택다세대주택기타
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동수연면적
증감
(%)
전국1.34.25.6-0.6-11.3-16.210.48.730.743.77.15.5-33.1-4.6
수도권2.85.04.9-2.14.02.0-2.36.533.344.22.1-0.1-35.5-2.4
지방0.63.65.80.0-16.0-20.821.010.529.743.420.820.2-31.5-5.8


그 외, 규모별, 소유주체별 변동 및 멸실 현황을 살펴보면

먼저 규모별로 보면,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30.3평)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2.2%인 97,919동, 100~200㎡ 건축물이 45,357동(19.6%), 300~500㎡ 건축물이 32,905동(14.2%) 순이고,

- 건축물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82,309동으로 전체의 42.9%, 100~200㎡ 건축물이 36,238동(18.9%), 300~500㎡ 건축물이 28,577동(14.9%) 순이었으며,

-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73,187동으로 전체의 38.4%, 100~200㎡ 건축물이 36,008동(18.9%), 300~500㎡ 건축물이 31,345동(16.5%) 순이었다.[참고6]

소유주체별로 보면, 건축허가 면적은 개인이 전체의 31.3%인 44,941천㎡, 법인이 61,012천㎡(42.5%), 국·공유가 14,870천㎡(10.4%)이고,

- 착공 면적은 개인이 전체의 35.9%인 36,762천㎡, 법인이 48,613천㎡(47.5%), 국·공유가 7,666천㎡(7.5%)이며,

- 준공 면적은 개인이 전체의 33.8%인 37,816천㎡, 법인이 52,137천㎡(46.6%), 국·공유가 8,415천㎡(7.5%)이다. [참고7]

마지막으로 멸실 현황을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과 상업용이 각각 5,025천㎡(42,390동), 3,025천㎡(10,755동) 멸실되었고, 공업용과 교육·사회용이 1,198천㎡(1,834동), 470천㎡(695동) 멸실되었다.

- 주거용 건축물의 멸실 현황을 세분화해 보면 단독주택이 3,389천㎡(37,521동) 멸실되어 전체의 67.4%를 차지하였으며, 다가구주택이 693천㎡(3,406동), 아파트가 401천㎡(147동) 멸실 되었다.

※ 이들 통계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 (http://www.eais.go.kr) 및 국토해양부 홈페이지 (http://www.mltm.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12년 건축허가, 착공, 준공 통계(별첨)




(붙임) '12년 건축허가, 착공, 준공 통계 별첨(녹색건축과).xls
130204(조간) '12년 건축허가, 전년대비 1.8% 증가(녹색건축과).hwp